화이트 플레인스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는 1776년 10월 28일, 미국 독립 전쟁 중 영국군과 대륙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영국군은 롱아일랜드 전투 이후 뉴욕시를 장악하려 했고, 조지 워싱턴은 군대를 화이트 플레인스로 이동시켜 방어선을 구축했다. 채터턴 언덕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영국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대륙군은 조직적으로 후퇴하여 전력을 보존했다. 이 전투는 영국군의 뉴욕 지배를 굳히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뉴잉글랜드로의 진격을 막았으며, 이후 미국의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6년 10월 - 발쿠르섬 전투
발쿠르섬 전투는 1776년 챔플레인 호에서 영국군의 뉴욕 진격을 막기 위해 대륙군이 벌인 해전으로, 대륙군은 열세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싸웠으나 퇴각했고, 이로 인해 영국군의 진격을 지연시켜 1777년 새러토가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 1776년 분쟁 - 롱아일랜드 전투
롱아일랜드 전투는 1776년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영국군이 대륙군을 격파하여 뉴욕을 점령하게 된 전투이며, 조지 워싱턴의 철수 작전이 돋보이는 사건이다. - 1776년 분쟁 - 보스턴 포위전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미국 식민지 민병대가 영국군을 보스턴에 포위한 보스턴 포위전은 과중한 세금과 렉싱턴-콩코드 전투로 고조된 반영국 감정 속에,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이 도체스터 고지 요새화로 영국군을 철수시켜 미국의 독립 투쟁 의지를 고취하고 독립 전쟁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 미국 독립 전쟁의 전투 - 새러토가 전투
새러토가 전투는 1777년 미국 독립 전쟁 중 영국군이 허드슨 강 유역을 장악하려다 대륙군에 항복하면서, 프랑스의 참전을 이끌어 미국 독립에 영향을 준 일련의 전투이다. - 미국 독립 전쟁의 전투 - 롱아일랜드 전투
롱아일랜드 전투는 1776년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영국군이 대륙군을 격파하여 뉴욕을 점령하게 된 전투이며, 조지 워싱턴의 철수 작전이 돋보이는 사건이다.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일부 | 미국 독립 전쟁 |
![]() | |
날짜 | 1776년 10월 28일 |
장소 | 뉴욕주화이트 플레인스 |
좌표 | N |
결과 | 영국 왕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1 | 영국 왕국 헤센-카셀 |
교전 2 | 미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지휘관 1 | 윌리엄 하우 알렉산더 레슬리 요한 랄 칼 폰 도노프 |
지휘관 2 | 조지 워싱턴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맥두걸 조지프 스펜서 |
병력 규모 | |
병력 1 | 4,000–7,500명 |
병력 2 | 3,1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전사: 48명 부상: 182명 실종: 4명 |
사상자 2 | 전사: 50–150+명 부상: 150+명 실종: 1명 포로: 16명 |
2. 배경
1776년 초 보스턴 전역에서 철수한 영국군 사령관 윌리엄 하우 장군은 핼리팩스에서 군대를 재정비한 후, 6월부터 뉴욕시 장악을 목표로 한 뉴욕-뉴저지 전역을 개시했다.[5] 이 작전은 7월 초 스태튼아일랜드 무혈 상륙으로 시작되었고, 8월에는 롱아일랜드에 상륙하여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을 격파했다.[6][56]
롱아일랜드 전투 패배 후 워싱턴은 군대를 이끌고 맨해튼으로 후퇴했으나[7][57], 하우는 9월 킵스 베이 상륙으로 추격을 계속했다. 비록 다음 날 할렘 하이츠 전투에서 대륙군의 저항에 부딪히기도 했지만, 하우는 포위 작전을 계속 추진했다. 10월, 스로그스 넥에서의 상륙 시도가 실패한 후, 하우는 펠스 포인트에 병력을 상륙시켜 워싱턴 군을 허드슨강과 영국군 사이에 가두려 했다.[8][58] 영국군 본대는 뉴로셸에 주둔했고, 선발대는 대륙군의 보급 기지가 있는 화이트플레인스에서 불과 약 11.27km 떨어진 마머로넥 근처까지 진격하면서 양측의 충돌이 임박하게 되었다.[10][59]
2. 1. 롱아일랜드 전투 이후

영국군의 윌리엄 하우 장군은 1776년 3월 보스턴 전역 이후 핼리팩스에서 군대를 재정비하고, 6월부터 뉴욕시 장악을 목표로 작전을 시작했다.[5] 이 작전은 7월 초 스태튼아일랜드에 저항 없이 상륙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영국군은 8월 22일 롱아일랜드 남부에도 큰 저항 없이 상륙했는데, 이곳 북쪽의 브루클린 하이츠 주변에는 조지 워싱턴 장군이 이끄는 대륙군이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다.[6]
8월 27일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패배한 워싱턴 장군은 8월 29일 밤부터 30일에 걸쳐 9,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당시 맨해튼을 지칭하던 요크 섬으로 성공적으로 탈출했다.[7] 하우 장군은 9월 15일 킵스 베이 상륙을 통해 맨해튼에 상륙하며 추격했지만, 다음 날 벌어진 할렘 하이츠 전투에서 워싱턴 군에 의해 진격이 저지되었다. 이후 하우는 스로그스 넥에서의 상륙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자, 10월 18일 펠스 포인트에서 약간의 저항을 물리치고 병력을 상륙시켜 포위 작전을 개시했다. 이는 펠스 포인트의 병력과 맨해튼의 본대, 그리고 영국 해군이 장악한 허드슨강을 이용해 워싱턴 군을 가두려는 시도였다.[8] 하우는 뉴로셸에 주둔지를 마련했으며, 그의 선발대는 화이트플레인스에서 불과 약 11.27km 떨어진 마머로넥 근처까지 진격했다. 화이트플레인스에는 소규모 병력이 지키는 대륙군의 보급 기지가 있었다.[10]
2. 2. 대륙군의 방어 전략
10월 20일, 조지 워싱턴은 루퍼스 퍼트넘 대령을 정찰 임무에 보내 영국군의 배치 상황과 대륙군 및 보급 기지에 대한 위험성을 파악했다.[59] 그날 밤 보고를 받은 워싱턴은 즉시 퍼트넘을 통해 최북단에 진을 치고 있던 윌리엄 알렉산더 장군(스터링 경)에게 부대를 화이트 플레인스로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전달했다. 스터링 부대는 10월 21일 오전 9시에 화이트 플레인스에 도착했고, 그날 다른 부대들도 잇달아 도착했다.[60] 워싱턴은 군대의 대부분을 화이트 플레인스로 후퇴시키기로 결정했으며[61], 맨해튼 섬의 워싱턴 요새는 너새니얼 그린 장군 휘하 1,200명의 병력에게 맡겨 방어하도록 했다.[61]윌리엄 하우가 이끄는 영국군은 천천히 전진했고, 왕당파 부대가 매머로넥을 점령했다. 10월 21일 밤, 스터링 경 휘하 존 해즐렛이 지휘하는 대륙군 분견대가 이 왕당파 부대를 공격하여 30명 이상의 포로와 물자를 확보하는 전과를 올렸으나, 대륙군 측에서도 수 명의 전사자와 1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62] 이에 대응하여 하우는 우익 부대 일부를 매머로넥 점령에 투입했다. 10월 22일에는 빌헬름 폰 크닙하우젠이 지휘하는 독일인 용병 부대 8,000명이 뉴로셸에 상륙하여 하우 군의 전력이 증강되었다.[63]
10월 23일, 워싱턴은 노스 화이트 플레인스에 있는 엘리야 밀러의 집을 작전 본부로 삼고[64], 두 개의 참호선으로 방어되는 진지를 구축했다. 이 방어 진지는 고지대에 위치했으며, 오른쪽은 브롱크스 강에 가까운 습지로 보호되었고, 후방에는 더욱 험한 언덕 지형이 있어 퇴로 확보에 유리했다. 대륙군의 방어선은 총 길이 약 4.83km에 달했다. 또한 방어선 오른쪽에는 채터턴 힐(Chatterton's Hill)이 솟아 있어, 영국군이 전진해 올 평원을 내려다볼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었다. 이 언덕은 처음에는 존 브룩스의 매사추세츠 민병대를 포함한 것으로 추정되는 수백 명의 민병대가 점령하고 있었다.[65]
10월 24일과 25일, 하우 군은 뉴로셸 방향 스카스데일까지 이동하여 브롱크스 강 동쪽에 야영지를 구축했다. 이는 찰스 리가 이끄는 대륙군 부대를 포위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였으나, 리의 부대는 이를 피하기 위해 화이트 플레인스로 향하는 길을 바꿔 밤샘 행군을 해야 했다.[66] 하우 군은 스카스데일에 머물다가 10월 28일 아침, 화이트 플레인스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영국군의 우익은 헨리 클린턴이 지휘하는 영국 정규군과 폰 하이스터 장군이 지휘하는 독일인 용병 부대로 구성되었다.[67]
3. 전투 전개
1776년 10월 28일 아침, 하우의 군대는 스카스데일의 야영지를 떠나 화이트 플레인스를 향해 진격을 시작했다. 영국군 우익은 헨리 클린턴 장군이, 좌익은 폰 하이스터 장군이 이끄는 영국 정규군과 헤센 용병 부대가 주력이었다.[21][22]
조지 워싱턴은 부대 배치를 위해 지형을 살피던 중 영국군의 접근 소식을 전령을 통해 받았다.[68] 즉시 사령부로 복귀한 워싱턴은 조셉 스펜서에게 1,500명의 병력을 주어 영국군의 진격을 늦추도록 명령했다. 동시에 존 하스렛과 제1 델라웨어 연대, 그리고 알렉산더 맥두걸의 여단(리체마의 뉴욕 제3 연대, 웹의 코네티컷 연대, 스몰우드의 메릴랜드 연대, 맥두걸 자신의 연대 포함)을 채터턴 언덕(Chatterton's Hill) 보강을 위해 급파했다.[71]
스펜서의 부대는 브롱크스 강을 건너 석벽 뒤에 자리를 잡고 영국군 좌익 선두의 요한 라알이 지휘하는 헤센 용병 부대와 교전을 벌였다. 그러나 클린턴이 이끄는 영국군 부대가 측면을 공격해오자 스펜서 부대는 브롱크스 강을 다시 건너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채터턴 언덕에 배치된 부대가 엄호 사격을 제공했다. 라알 부대는 이 기세로 채터턴 언덕을 점령하려 했으나, 하스렛 부대와 민병대의 사격에 격퇴당하고 강 건너편 가까운 언덕으로 물러났다.[69] 대륙군의 이러한 효과적인 방어는 전 전선에 걸쳐 공격을 개시하려던 영국군 전체의 움직임을 잠시 멈추게 했다.[70]
하우와 그의 참모들이 대응책을 논의하는 동안, 좌익의 헤센 포병 부대가 채터턴 언덕 정상을 향해 포격을 시작했다. 이 포격은 언덕 위의 민병대를 혼란에 빠뜨리는 데 성공했다. 때마침 도착한 맥두걸과 그의 여단은 동요하는 민병대를 수습하여 우익에 배치하고, 대륙군 정규군을 중심으로 언덕 정상에 방어선을 구축했다.[71] 하우는 마침내 공격 명령을 내렸으나, 주력 부대는 후방에 대기시키고 일부 영국군과 헤센 분견대만을 보내 채터턴 언덕을 탈취하도록 했다.[72]
공격은 헤센 연대가 선두에 서서 시작되었다. 라알 부대는 대륙군 우익을 공격했고, 도노프 대령이 이끄는 헤센 척탄병 대대(린싱, 밍게로데, 렝게렉, 코흐러 연대 및 도노프 엽병 연대)가 중앙을 공격했다. 레슬리 장군 휘하의 영국군 부대(제5, 제28, 제35, 제49 보병 연대)는 우익을 맡았다. 도노프 부대가 강을 건너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주저하는 사이, 영국군 부대가 먼저 강을 건넜다. 라알 부대의 공격으로 대륙군 우익의 민병대는 흩어졌고, 영국군 주력 부대의 공격을 받던 메릴랜드 연대와 뉴욕 연대는 격렬히 저항했으나 측면이 노출되면서 점차 밀려나기 시작했다. 이들의 후퇴는 다른 대륙군 부대에도 영향을 미쳐 전선이 점차 무너지기 시작했다. 대륙군 좌익을 지키던 하스렛의 델라웨어 연대가 후퇴하는 부대들을 위해 엄호 사격을 제공하며 가장 마지막까지 언덕에 남아 저항했다.[73] 전투는 매우 치열했으며 양측 모두 상당한 사상자를 냈다. 하지만 대륙군은 혼란 속에서도 비교적 질서정연하게 철수하는 데 성공했다.[74]
3. 1. 영국군의 진격
1776년 3월 보스턴을 내준 영국군의 윌리엄 하우 장군은 노바스코샤의 핼리팩스에서 군대를 재편성한 후, 6월부터 뉴욕을 점령하기 위한 작전을 개시했다.[55] 이 작전은 7월 초 스태튼 섬에 저항 없이 상륙하면서 시작되었고, 8월 22일에는 역시 별다른 저항 없이 롱아일랜드에 상륙했다.[56] 그러나 그 북쪽에는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이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다.[56]8월 27일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패배한 워싱턴은 8월 29일 밤부터 30일에 걸쳐 맨해튼 섬으로 9,000명의 병력과 함께 성공적으로 철수했다.[57] 하우는 9월 15일 맨해튼 섬에 상륙하여 추격했지만, 다음 날 할렘 하이츠 전투에서 대륙군에게 패배했다. 이후 영국군은 브롱크스의 스로그스 넥 상륙 시도가 실패하자, 10월 18일 페일스 포인트에 상륙하여 뉴로셸에 숙영지를 마련했다. 이로써 맨해튼의 본대 및 허드슨강을 장악한 영국 해군과 연계하여 워싱턴 군을 포위하려 했다.[58] 영국군 선발대는 대륙군의 보급 기지가 있는 화이트 플레인스에서 불과 7마일(약 11km) 떨어진 마마로넥 근처까지 진격했다.[59]
10월 20일, 워싱턴은 할렘 하이츠의 진지에서 루퍼스 퍼트남 대령을 정찰 임무에 파견했다.[9] 퍼트남은 영국군의 배치 상황을 파악하고 대륙군과 보급 물자에 대한 위험을 인지하여[10][11] 그날 밤 워싱턴에게 보고했다. 워싱턴은 즉시 퍼트남을 보내 가장 북쪽에 주둔하고 있던 스털링 경에게 화이트 플레인스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전달했다. 스털링 부대는 10월 21일 오전 9시에 화이트 플레인스에 도착했으며, 다른 부대들도 뒤따라 합류했다.[12][13][60] 워싱턴은 군 주력을 화이트 플레인스로 철수시키기로 결정하고,[14][61] 맨해튼 섬의 포트 워싱턴에는 너새니얼 그린 휘하의 1,200명 병력을 남겨 방어하게 했다.[14][61]
하우의 군대는 천천히 진격했다. 중앙과 우익 부대는 뉴로셸에서 화이트 플레인스로 가는 길을 따라 이동했고, 왕당파 부대는 마머로넥을 점령했다. 10월 21일 밤, 스털링 경 휘하 존 해슬렛이 지휘하는 분견대가 이 왕당파 부대를 공격하여 30명 이상의 포로와 물자를 확보했으나, 대륙군 측도 수 명의 전사자와 1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에 하우는 우익 부대 일부를 이동시켜 마머로넥 점령을 강화했다.[15][62] 10월 22일, 빌헬름 폰 크니파우젠이 지휘하는 8,000명의 헤센 용병 부대가 뉴로셸에 상륙하여 하우 군에 합류했다.[16][63]
10월 23일, 워싱턴은 노스 화이트 플레인스의 일라이자 밀러 하우스에 사령부를 설치하고,[17][64] 두 줄의 참호로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18] 이 참호는 고지대에 위치했으며, 오른쪽은 브롱크스 강 근처 늪지대로 보호되었고, 후방에는 더 가파른 언덕이 있어 퇴각로로 활용될 수 있었다. 대륙군의 방어선은 총 길이 3마일(약 4.8km)에 달했다.[65] 방어선 오른쪽 너머에는 채터턴 언덕이 있었는데, 이곳은 영국군이 진격해야 할 평원을 내려다보는 요충지였다. 이 언덕은 초기에 수백 명의 민병대 부대가 점령하고 있었으며, 존 브룩스의 매사추세츠 민병대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9][65]
10월 24일과 25일, 하우의 군대는 뉴로셸에서 스카스데일로 이동하여 브롱크스 강 동쪽 기슭에 야영지를 건설했다. 이는 대륙군 찰스 리 부대를 포착하려는 의도로 보였으나, 리의 부대는 경로를 변경하고 밤샘 행군을 통해 이를 피했다.[20][66] 하우는 10월 28일 아침까지 스카스데일에 머물다가 화이트 플레인스를 향해 진격을 시작했다. 우익은 헨리 클린턴 장군 휘하의 영국 정규군이, 좌익은 폰 하이스터 장군 휘하의 헤센 용병 부대가 주력을 이루었다.[21][22][67]
3. 2. 대륙군의 방어 준비
1776년 10월 20일, 조지 워싱턴 장군은 할렘 하이츠(Harlem Heights)의 야영지에서 루퍼스 퍼트남 대령에게 정찰 임무를 맡겼다.[9][59] 퍼트남은 영국군의 배치 상황과 대륙군 및 군수 물자에 대한 위험을 파악하여[10][11] 그날 밤 워싱턴에게 보고했다. 보고를 받은 워싱턴은 즉시 퍼트넘을 보내 가장 북쪽에 주둔하고 있던 스털링 경에게 화이트 플레인스로 즉시 이동하라는 명령을 전달했다. 스털링 부대는 10월 21일 오전 9시에 화이트 플레인스에 도착했고, 다른 부대들도 속속 합류했다.[12][13][60]워싱턴은 대부분의 군대를 화이트 플레인스로 철수시키기로 결정하고,[14][61] 맨해튼 섬의 포트 워싱턴에는 너새니얼 그린 휘하의 1,200명 병력을 남겨 방어하게 했다.[14][61] 한편, 하우 장군의 영국군은 천천히 진격했다. 중앙 부대와 우익 부대는 뉴 로셸에서 화이트 플레인스로 가는 길을 따라 이동했고, 왕당파 부대는 마머로넥을 점령했다. 그날 밤, 존 해슬렛이 지휘하는 스털링 경 부대의 분견대가 마머로넥의 왕당파 부대를 공격하여 30명 이상을 포로로 잡고 물자를 확보했으나, 대륙군 측도 몇 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당했다. 이 공격에 대응하여 하우는 우익 부대의 일부를 마머로넥 점령에 투입했다.[15][62] 10월 22일, 빌헬름 폰 크니파우젠이 지휘하는 8,000명의 헤센 용병 부대가 뉴 로셸에 상륙하여 하우 군대에 합류했다.[16][63]
10월 23일, 워싱턴은 노스 화이트 플레인스에 있는 일라이자 밀러 하우스에 사령부를 설치하고,[17][64] 두 줄의 참호로 방어선을 구축했다.[18][64] 이 참호는 고지대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오른쪽은 브롱크스 강 근처의 늪지대로 보호되었고, 후방에는 더 가파른 언덕이 있어 유사시 퇴각로로 활용될 수 있었다. 대륙군의 방어선은 총 길이 약 4.83km에 달했다.[18] 방어선 오른쪽 너머에는 채터턴 언덕(Chatterton's Hill)이 있었는데, 이곳은 영국군이 진격해 올 평원을 내려다보는 중요한 지점이었다. 이 언덕은 처음에 수백 명의 민병대 부대가 점령하고 있었으며, 존 브룩스(John Brooks)의 매사추세츠 민병대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65]
10월 24일과 10월 25일, 하우의 군대는 뉴 로셸에서 스카스데일로 이동하여 브롱크스 강 동쪽 기슭에 야영지를 건설했다. 이는 찰스 리 장군이 이끄는 대륙군 부대를 포위하려는 의도로 보였으나, 리의 부대는 경로를 변경하고 밤샘 행군을 통해 이를 피했다.[20][66] 하우는 10월 28일 아침까지 스카스데일에 머물다가 화이트 플레인스를 향해 진격을 시작했다. 영국군 우익은 헨리 클린턴 장군이, 좌익은 폰 하이스터 장군이 이끄는 영국 정규군과 헤센 용병 부대로 구성되었다.[21][22][67]
3. 3. 양측 군대 구성
영국군은 윌리엄 하우 장군이 지휘했으며, 영국 정규군 외에도 빌헬름 폰 크니프하우젠이 이끄는 독일인 용병 부대와 왕당파 부대가 합류하여 구성되었다.[63][67]대륙군은 조지 워싱턴 장군이 총지휘를 맡았으며, 주력 대륙군 부대로 이루어졌다. 너새니얼 그린 장군이 이끄는 일부 병력은 맨해튼 섬의 워싱턴 요새 방어를 담당했다.[61]
3. 3. 1. 영국군 및 헤센군
'''영국군'''참전한 영국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23][24][25]
- 제16 경기병 연대
- 제17 경기병 연대
- 제1대대, 근위 여단
- 제2대대, 근위 여단
- 제5 보병 연대
- 제23 보병 연대
- 제27 보병 연대
- 제28 보병 연대
- 제35 보병 연대
- 제42 보병 연대
- 제49 보병 연대
- 제52 보병 연대
- 제1중대, 제4대대, 왕립 포병대
- 제2중대, 제4대대, 왕립 포병대
- 제4중대, 제4대대, 왕립 포병대 (총사령관 명령에서 특별 표창)
- 제5중대, 제4대대, 왕립 포병대 (총사령관 명령에서 표창)
- 제8중대, 제4대대, 왕립 포병대 (총사령관 명령에서 표창)
'''헤센군'''
3. 3. 2. 대륙군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에 참여한 미국(대륙)군 병력은 다음과 같다.[25][27]
1776년 10월 20일, 조지 워싱턴은 할렘 하이츠의 진지에서 루퍼스 퍼트넘 대령을 정찰 임무에 파견했다. 퍼트넘은 영국군의 전체 배치를 파악하고, 대륙군과 보급 기지에 대한 위험성을 워싱턴에게 보고했다.[59] 보고를 받은 워싱턴은 즉시 퍼트넘을 보내 가장 북쪽에 있던 윌리엄 알렉산더 장군(스터링 경)에게 부대를 화이트 플레인스로 이동시키라는 명령을 전달했다. 스터링 부대는 10월 21일 오전 9시에 화이트 플레인스에 도착했으며, 다른 부대들도 그날 속속 도착했다.[60] 워싱턴은 군대의 대부분을 화이트 플레인스로 후퇴시키기로 결정했고[61], 맨해튼 섬의 워싱턴 요새는 너새니얼 그린 장군 휘하 1,200명의 병력에게 맡겨 방어하도록 했다.[61]
한편, 하우가 이끄는 영국군은 천천히 전진하여 중앙과 우익 부대가 뉴로셸에서 화이트 플레인스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 이동했으며, 왕당파 부대가 매머로넥을 점령했다. 그날 밤, 스터링 경 휘하의 존 하슬렛이 지휘하는 분견대가 매머로넥의 왕당파 부대를 기습 공격하여 30명 이상의 포로와 물자를 노획했다. 이 과정에서 하슬렛 부대도 일부 사상자가 발생했다(수 명 전사, 15명 부상). 이 공격에 대응하여 하우는 우익 부대 일부를 매머로넥 점령을 위해 이동시켰다.[62] 10월 22일, 빌헬름 폰 크니프하우젠이 지휘하는 독일인 용병 부대 8,000명이 뉴로셸에 상륙하여 하우 군에 합류했다.[63]
10월 23일, 워싱턴은 노스 화이트 플레인스에 있는 엘리야 밀러의 집을 작전 본부로 삼고, 두 개의 참호선으로 방어되는 진지를 구축했다.[64] 이 참호는 고지대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오른쪽은 브롱크스 강에 인접한 습지가 자연 방어선 역할을 했고, 후방에는 더 험준한 언덕이 있어 퇴로 확보에도 유리했다. 대륙군의 전선은 총 길이 약 4.83km에 달했다. 또한, 전선 오른쪽에는 채터턴 힐(Chatterton's Hill)이 있었는데, 이곳은 영국군이 전진해 올 평원을 내려다볼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었다. 처음에는 존 브룩의 매사추세츠 민병대를 포함한 수백 명의 민병대가 이 언덕을 점령하고 있었다.[65]
10월 24일과 10월 25일, 하우 군은 뉴로셸 방향의 스카스데일까지 이동하여 브롱크스 강 동쪽에 야영지를 구축했다. 이는 대륙군 찰스 리 장군의 부대를 포착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였으나, 리 부대는 이를 피해 화이트 플레인스로 향하는 길을 변경하며 밤샘 행군을 통해 합류에 성공했다.[66] 하우 군은 스카스데일에 머물다가 10월 28일 아침, 화이트 플레인스를 향해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영국군 우익은 헨리 클린턴이 지휘하는 영국 정규군과 폰 하이스터 장군이 지휘하는 독일인 용병 부대로 구성되었다.[67]
4. 전투
워싱턴은 영국군의 접근 소식을 듣고 조셉 스펜서에게 일부 병력을 주어 적의 진격을 늦추도록 하는 한편, 채터턴 언덕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헤즐릿의 제1 델라웨어 연대와 알렉산더 맥두걸의 여단을 파견했다.[28][68][31][71]
스펜서가 이끄는 부대는 브롱크스 강 근처에서 전진해오는 헤센군과 교전했으나, 영국군의 측면 공격 위협으로 인해 후퇴했다. 이 초기 교전에서 대륙군의 저항은 영국군 주력 부대의 진격을 일시적으로 저지하는 효과를 거두었다.[29][69][30][70]
이후 하우 장군의 지휘 아래 영국군과 헤센군 분견대가 채터턴 언덕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을 개시했다. 헤센 포병의 포격 지원 속에 진행된 이 공격으로 언덕 위 민병대가 동요하기도 했으나, 맥두걸 여단의 합류로 방어선이 재정비되었다.[31][71][32][72]
채터턴 언덕에서 벌어진 격렬한 전투 끝에, 대륙군은 수적 열세와 측면 노출 등의 불리함 속에서도 질서를 유지하며 북쪽으로 후퇴했다. 이 전투로 양측 모두 상당한 사상자를 기록했다.[33][73][34][74]
4. 1. 채터턴 언덕 전투
워싱턴이 최적의 병력 배치 지점을 찾기 위해 지형을 살피던 중, 전령으로부터 영국군이 진격하고 있다는 소식을 받았다.[28][68] 사령부로 돌아온 워싱턴은 조셉 스펜서 소장에게 약 1,500명의 병력을 주어 영국군의 진격을 늦추도록 지시했다. 동시에 헤즐릿 대령이 이끄는 제1 델라웨어 연대와 알렉산더 맥두걸 준장의 여단(루돌푸스 리츠마의 제3 뉴욕 연대, 찰스 웹의 제19 대륙 연대, 윌리엄 스몰우드의 제1 메릴랜드 연대, 그리고 맥두걸 자신의 제1 뉴욕 연대 및 제2 뉴욕 연대)을 채터턴 언덕으로 보내 방어를 강화하도록 명령했다.[31][71]
스펜서의 부대는 브롱크스강을 건너 올드 요크 로드(Old York Road) 근처 돌담 뒤에 자리를 잡고, 영국군 좌익 선봉에 있던 요한 랄 대령 휘하의 헤센군과 교전을 시작했다. 그러나 클린턴이 이끄는 영국군 부대가 측면을 위협하자 스펜서의 부대는 브롱크스강을 다시 건너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처음에는 채터턴 언덕 위 아군 부대의 엄호 사격을 받으며 질서 있게 후퇴했으나, 영국 용기병이 나타나자 혼란에 빠지며 흩어졌다. 랄의 헤센 부대는 곧바로 언덕을 점령하려 했지만, 헤즐릿의 델라웨어 연대와 민병대의 사격에 막혀 격퇴되었고,[29][69] 강 건너편 인근 언덕으로 물러났다. 대륙군의 이러한 효과적인 초기 방어는 마치 전 전선을 공격할 것처럼 보이던 영국군 전체의 진격을 잠시 멈추게 했다.[30][70]
하우 장군과 그의 지휘관들이 다음 작전을 논의하는 동안, 영국군 좌익에 배치된 헤센 포병대가 채터턴 언덕을 향해 포격을 시작했다. 이 포격으로 언덕 위의 민병대가 동요하며 후퇴하기 시작했다. 마침 도착한 맥두걸과 그의 여단은 후퇴하는 민병대를 수습하고 방어선을 재정비했다. 민병대는 방어선의 우익에, 대륙군 정규군은 언덕 정상을 따라 배치되었다.[31][71] 하우는 마침내 공격 명령을 내렸고, 주력 부대는 대기시킨 채 일부 영국군과 헤센군 분견대를 보내 언덕을 점령하도록 했다.[32][72]
영국군의 공격은 헤센 연대가 선두에 서는 방식으로 편성되었다. 랄의 부대는 대륙군 우익을, 카를 폰 도놉 대령 휘하의 헤센 척탄병 대대(린싱, 밍게로데, 렝게레크, 쾨흘러 연대 소속)와 도놉 자신의 엽병 연대는 중앙을 공격했다. 알렉산더 레슬리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 부대(제5, 28, 35, 49 보병 연대)는 대륙군 좌익을 맡았다. 도놉의 부대가 강을 건너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주저하는 사이, 레슬리의 영국군 일부가 먼저 강을 건넜다. 랄 부대의 공격으로 대륙군 우익의 민병대가 흩어지면서, 영국군 공격대에 맞서 사격하며 진격을 잠시 저지했던 메릴랜드 연대와 뉴욕 연대의 측면이 노출되었다. 측면이 위험해지자 이들 연대는 질서 있게 후퇴하기 시작했고, 이는 다른 영국 부대와 교전 중이던 대륙군 전선의 나머지 부대들도 함께 후퇴하게 만들었다. 대륙군 좌익을 지키던 헤즐릿의 델라웨어 연대는 다른 부대들이 북쪽으로 후퇴하는 동안 끝까지 남아 엄호 사격을 제공했고, 마지막으로 언덕을 떠났다.[33][73] 전투는 치열했으며 양측 모두 상당한 사상자를 냈지만, 대륙군은 규율을 유지하며 성공적으로 후퇴했다.[34][74]
4. 2. 대륙군의 후퇴
워싱턴이 병력 배치를 위한 최적의 지형을 살피던 중, 전령으로부터 영국군이 진격해 오고 있다는 소식을 받았다.[28][68] 사령부로 복귀한 워싱턴은 조셉 스펜서 휘하의 제2 코네티컷 연대 등 약 1,500명의 병력에게 영국군의 진격을 늦추도록 명령했다. 또한 존 하스렛이 이끄는 제1 델라웨어 연대와 알렉산더 맥두걸의 여단(루돌푸스 리츠마의 제3 뉴욕 연대, 찰스 웹의 제19 대륙 연대, 윌리엄 스몰우드의 제1 메릴랜드 연대, 제1 뉴욕 연대 및 제2 뉴욕 연대)을 채터턴 언덕(Chatterton Hill)으로 보내 증원하도록 지시했다.[31][71]
스펜서의 부대는 올드 요크 로드(Old York Road)의 하트 코너스로 나아가, 영국군 좌익 선두에 있던 요한 랄 대령 휘하의 헤센 병사들과 교전을 벌였다. 그러나 클린턴이 이끄는 영국군 부대가 측면을 위협하자, 스펜서 부대는 브롱크스 강을 건너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처음에는 채터턴 언덕의 병력들이 엄호 사격을 해주는 가운데 돌담 뒤에서 잠시 멈춰 사격하며 질서 있게 후퇴했으나, 영국군 용기병이 나타나자 큰 혼란 속에 흩어졌다. 랄의 헤센 부대는 채터턴 언덕을 점령하려 했지만, 하스렛의 델라웨어 연대와 민병대의 사격에 막혀 격퇴되었고,[29][69] 강 건너편 인근 언덕으로 물러났다. 이러한 대륙군의 효과적인 방어는 전 전선에 걸쳐 공격을 개시할 것처럼 보이던 영국군 전체의 진격을 잠시 멈추게 했다.[30][70]
하우 장군과 그의 지휘부가 작전 회의를 하는 동안, 좌익에 배치된 헤센 포병대가 채터턴 언덕에 포격을 개시했다. 이 포격으로 언덕 위의 민병대는 공황 상태에 빠져 후퇴하기 시작했다. 이때 맥두걸과 그의 여단이 도착하여 흩어지는 민병대를 수습하고 방어선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새로운 방어선은 민병대가 우익에, 대륙군 정규군이 언덕 정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짜였다.[31][71] 하우는 마침내 공격 명령을 내렸고, 영국군 주력 부대는 대기하는 동안 일부 영국군과 헤센 분견대가 채터턴 언덕을 점령하기 위해 파견되었다.[32][72]
영국군의 공격은 헤센 연대가 선두에 서는 방식으로 조직되었다. 랄의 부대는 대륙군 우익을, 카를 폰 도놉 대령 휘하의 헤센 대대(린싱, 밍게로데, 렝게레크, 쾨흘러 척탄병 대대 및 도놉 직속 엽병 연대로 구성)는 중앙을 공격하도록 계획되었다. 알렉산더 레슬리 장군 휘하의 영국군 부대(제5, 28, 35, 49 보병 연대)는 우익을 맡았다. 도놉의 헤센 부대는 브롱크스 강을 건너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주저했고, 그 사이 레슬리 휘하의 영국군 일부가 먼저 강을 건넜다. 랄 부대의 공격으로 대륙군 우익의 민병대는 흩어졌고, 이로 인해 영국군 공격대에 맞서 사격하며 일시적으로 진격을 저지하던 메릴랜드 연대와 뉴욕 연대의 측면이 노출되었다. 측면이 무방비 상태가 되자 이들 연대는 교전하며 질서 있게 후퇴하기 시작했고, 이는 영국군의 다른 부대와 교전하던 대륙군 전선의 나머지 부대들도 점차 뒤로 물러나게 만들었다. 대륙군 좌익을 담당했던 하스렛의 델라웨어 연대는 나머지 병력이 북쪽으로 후퇴하는 동안 엄호 사격을 제공하며 가장 마지막까지 언덕에 남아 저항했다.[33][73] 전투는 치열했으며 양측 모두 상당한 사상자를 냈지만, 대륙군은 규율을 유지하며 성공적으로 후퇴했다.[34][74]
5. 전투 결과 및 영향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는 영국군의 전술적 승리였으나, 워싱턴은 대륙군 주력을 성공적으로 보존하며 후퇴하는 데 성공했다.[80] 하우 장군은 채터턴 언덕을 점령했지만, 악천후[79]와 워싱턴의 신속한 철수로 인해 대륙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할 기회를 놓쳤다.[80]
양측 모두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구체적인 피해 규모는 출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사상자 참조)
전투 후 하우는 워싱턴군 추격을 포기하고 맨해튼의 대륙군 잔존 세력을 소탕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워싱턴 요새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81][82] 반면, 워싱턴은 군대를 이끌고 허드슨강을 건너 뉴저지를 거쳐 펜실베이니아까지 후퇴하며 전력을 재정비할 시간을 벌었다.[83] 이후 워싱턴은 델라웨어 강을 건너 트렌턴 전투에서 기습적인 승리를 거두며 전쟁의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83] 이는 하우가 화이트 플레인스에서 대륙군 주력을 섬멸하지 못한 결과가 미국 독립 전쟁의 향방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5. 1. 사상자

존 포테스큐의 ''영국 육군사''에 따르면, 하우 군의 사상자는 영국군 214명과 헤센군 99명이었다.[35][75] 그러나 로드니 앳우드는 포테스큐가 제시한 헤센군 수치에는 10월 19일부터 28일까지의 모든 헤센군 손실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제 전투에서의 손실은 53명이라고 지적했다.[36][76] 이를 반영하면 영국군과 헤센군을 합한 총 사상자(사망, 부상, 실종)는 267명이다. 한편, 헨리 도슨은 하우 군의 손실을 사망 47명, 부상 182명, 실종 4명으로, 총 233명으로 기록했다.[4][37][54]
대륙군의 손실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시어도어 사바스와 J. 데이비드 데머런은 사망, 부상, 포로를 포함하여 총 150명에서 500명 사이로 추정했다.[38][77] 새뮤얼 로즈는 사망 47명, 부상 70명으로 총 117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39][78] 헨리 도슨은 맥두걸과 스펜서 부대의 손실을 사망 50명, 부상 150명, 실종 17명으로 추정했지만, 해슬렛 연대나 매사추세츠 민병대의 손실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았다.[4][37][54]
5. 2. 전후 상황
두 장군은 전투 후 이틀 동안 제자리를 지켰다. 하우는 채터턴 언덕의 진지를 강화했고, 워싱턴은 군대를 북쪽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준비했다. 10월 30일, 퍼시 경이 이끄는 헤센 및 발데크 용병 부대가 추가로 도착하자, 하우는 다음 날 대륙군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다음 날은 하루 종일 폭우가 쏟아졌고,[40] 하우가 마침내 공격을 준비했을 때는 워싱턴이 이미 철수한 뒤였다.[41][37]워싱턴은 10월 31일 밤, 군대를 북쪽 언덕으로 철수시켜 노스 캐슬 근처에 진지를 구축했다.[41] 하우는 워싱턴을 추격하는 대신 유인하려 했으나 실패했다.[42] 결국 11월 5일, 하우는 군대를 남쪽으로 돌려 맨해튼에서 대륙군 잔존 병력을 몰아내는 데 집중했고, 이는 11월 16일 포트 워싱턴 전투로 이어졌다.[43]
워싱턴은 군대 대부분을 이끌고 피크스킬에서 허드슨 강을 건넜고, 보급품과 중요한 도하 지점을 지키기 위해 뉴잉글랜드 연대를 남겨두었다.[44] 이후 영국군의 추격으로 워싱턴의 군대는 뉴저지를 가로질러 펜실베이니아까지 후퇴해야 했고, 영국군은 뉴저지 전역에 전초 기지를 설치했다. 군대의 사기를 높일 승리가 필요했던 워싱턴은 12월 26일, 델라웨어 강을 건너 트렌턴 전투에서 랄이 이끄는 헤센 용병 부대를 기습하여 승리했다.[45]
6. 역사적 의의 및 평가
매년 전투 기념일 즈음, 화이트 플레인스 역사 협회는 제이콥 퍼디 하우스(Jacob Purdy House)에서 이 사건을 기념하는 행사를 연다.[46] 미국 해군은 두 척의 군함에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의 이름을 붙였다. CVE-66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호위 항공모함이었고, AFS-4는 1995년에 퇴역한 전투 보급함이었다.[47][48][49]
일부 역사가들은 워싱턴 어빙의 단편 소설 "슬리피 할로우의 전설"에 등장하는 목 없는 기사가 이 전투 중 포격으로 머리를 잃은 실존 헤센 용병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보기도 한다.[50]
6. 1. 전술적 평가
전술적으로는 브롱크스 강 남쪽의 채터턴 언덕 진지를 빼앗은 영국군의 승리로 평가된다. 하지만 사상자 수만 보면 오히려 영국군의 희생이 더 많았던 드문 전투이기도 하다.전략적인 평가는 엇갈린다. 단기적으로 보면, 11월 16일 와싱턴 요새가 고립되어 함락되고 영국군이 맨해튼 섬과 뉴욕시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으므로 영국군의 승리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양측 합쳐 3만 명이 넘는 주력군이 맞붙었음에도 영국군은 대륙군에게 결정적인 전투를 강요하지 못했다. 영국군의 작전은 화이트 플레인스를 내려다보는 브롱크스 강 남쪽 언덕을 점령하는 데 그쳤고, 이는 결과적으로 대륙군이 뉴욕시를 제외한 뉴욕주 대부분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영국군은 뉴잉글랜드로 통하는 길을 확보하지 못해 육로를 통한 뉴잉글랜드 진격이 불가능해졌다.
이 전투 이후, 미국 육군사관학교로 유명한 웨스트포인트 요새는 영국 육군과 해군의 북진을 막는 중요한 거점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다음 해인 1777년 사라토가 전투에서 대륙군이 승리하면서 캐나다로부터 육로를 통해 침공하려던 영국군의 계획마저 좌절되었다. 이로써 뉴욕을 중심으로 식민지들을 남북으로 분단시키려던 영국군의 초기 전략 목표 달성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한편, 훗날 군청 소재지가 되는 웨스트체스터 군 지역은 1783년 파리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영국군과 대륙군 세력 사이의 완충 지대로 남게 되었다.
6. 2. 전략적 평가
전술적으로는 영국군이 브롱크스 강 남쪽 채터턴 언덕 진지를 탈취했으므로 영국군의 승리로 평가된다. 그러나 사상자 수만 보면 오히려 영국군의 손실이 더 컸던 전투 중 하나이다.전략적인 평가는 다소 엇갈린다. 11월 16일 와싱턴 요새가 고립되어 함락되고 영국군의 맨해튼 섬과 뉴욕시 장악력이 강화되었으므로, 단기적으로는 영국군의 전략적 승리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양측 합쳐 3만 명이 넘는 주력군이 대치했음에도 영국군은 대륙군에게 결정적인 전투를 강요하지 못했다. 또한, 화이트 플레인스를 내려다보는 언덕 점령에 그치면서 결과적으로 대륙군은 뉴욕시를 제외한 뉴욕주 대부분 지역의 통제권을 유지하게 되었다. 영국군은 뉴잉글랜드로 향하는 길을 확보하지 못해 육로를 통한 뉴잉글랜드 진격이 어려워졌다.
이 전투 이후, 훗날 미국 육군사관학교가 들어서는 웨스트포인트의 요새는 영국 육군과 해군의 북상을 막는 주요 거점으로 강화되었다. 다음 해인 1777년 사라토가 전투에서 대륙군이 승리하면서 캐나다로부터의 영국군 육로 침공 경로가 차단되자, 식민지들을 뉴욕에서 분단시키려던 영국군의 초기 작전 목표 달성은 더욱 어려워졌다.
이후 화이트 플레인스가 군청 소재지가 되는 웨스트체스터 군 지역은 파리 조약(1783년)이 체결될 때까지 영국군과 대륙군 사이의 완충 지대 역할을 했다.
7. 유산
매년 전투 기념일 또는 그 무렵, 화이트 플레인스 역사 협회는 제이콥 퍼디 하우스Jacob Purdy Houseeng에서 이 사건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한다.[46][84]
미국 해군은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의 이름을 딴 두 척의 군함을 보유했다. 첫 번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호위 항공모함인 USS White Plains (CVE-66)이다.[47] 두 번째는 전투 보급함인 USS White Plains (AFS-4)로, 1992년 태풍 오마르로 심각한 손상을 입은 후 1995년에 퇴역했다.[48][49][85][86]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워싱턴 어빙의 단편 소설 "슬리피 할로우의 전설"에 등장하는 목 없는 기사는 이 전투 중 대포 사격으로 머리를 잃은 실존 헤센 병사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50]
현재 게이오기주쿠 뉴욕 학원 부지 내에는 이 전투에서 전사한 병사들이 잠들어 있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서적
1776
[8]
문서
[9]
서적
General Rufus Putnam: George Washington's Chief Military Engineer and the "Father of Ohio,"
McFarland & Company, Inc.
[10]
문서
[11]
서적
General Rufus Putnam: George Washington's Chief Military Engineer and the "Father of Ohio,"
McFarland & Company, Inc.
[12]
문서
[13]
서적
General Rufus Putnam: George Washington's Chief Military Engineer and the "Father of Ohio,"
McFarland & Company, Inc.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Miller House
https://web.archive.[...]
Westchester County Parks Department
2011-08-26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General Rufus Putnam: George Washington's Chief Military Engineer and the "Father of Ohio,"
McFarland & Company, Inc.
[22]
문서
[23]
웹사이트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1775–1783
https://web.archive.[...]
2020-07-24
[24]
문서
[25]
웹사이트
Battle of White Plains
https://www.britishb[...]
2020-07-24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Atwood
[37]
서적
General Rufus Putnam: George Washington's Chief Military Engineer and the "Father of Ohio,"
McFarland & Company, Inc.
[38]
서적
Savas and Dameron
[39]
서적
Roads
[40]
서적
Schecter
[41]
서적
Schecter
[42]
서적
Dawson
[43]
서적
Schecter
[44]
서적
Schecter
[45]
서적
Schecter
[46]
웹사이트
White Plains Historical Society Event Calendar
[47]
웹사이트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 ''White Plains''
http://www.history.n[...]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2007-08-11
[48]
뉴스
After the storm; Thousands on Guam lose homes in typhoon
https://www.nytimes.[...]
2010-02-18
[49]
웹사이트
U.S.S ''White Plains''
http://www.hullnumbe[...]
2016-12-11
[50]
웹사이트
Halloween History: The Legend of Sleepy Hollow
http://historydetect[...]
2013-10-25
[51]
서적
Dawson
[52]
문서
British reports do not indicate exactly how many troops were engaged; most historians do not list specific values. Dawson estimates 7,500 (p. 269), more than one half of Howe's army. Alden estimates 4,000 (p. 273).
[53]
서적
Dawson
[54]
서적
Dawson
[55]
서적
Schecter
[56]
서적
Schecter
[57]
서적
1776
[58]
서적
Schecter
[59]
서적
Schecter
[60]
서적
Schecter
[61]
서적
Lengel
[62]
서적
Dawson
[63]
서적
Schecter
[64]
서적
Greene
[65]
서적
Dawson
[66]
서적
Dawson
[67]
서적
Dawson
[68]
서적
Lengel
[69]
서적
Schecter
[70]
서적
Dawson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Roads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웹사이트
White Plains Historical Society Event Calendar
[85]
간행물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86]
뉴스
AFTER THE STORM; Thousands on Guam Lose Homes in Typhoon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1992-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